전체 글 732

우화단의 두 번째 전시회

#다꿈청소년자치기구, #만화자치기구, #우화단, #두번째전시회, #정:행복의정의, #스토리가있는만화 다꿈청소년만화자치기구 우화단의 작년 여름 첫번째 전시회 이후 벌써 두번째 전시회다. 출품작을 만들어내고, 전시회의 주제 선정이나 운영까지 청소년 스스로 다 했다. 작품의 개수나 진행의 원활함보다 더 중요한 건 구성원들의 수평적인 관계 형성을 바탕으로 하는 합의 과정이었다고 생각한다. 청소년들은 이런 과정 가운데 자연스럽게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이나 역량을 강화해나간다. 청소년 자치, 참여, 시민성 등의 강화를 위해, 정치, 사회참여, 민주시민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여기서 말하는 교육에서는 보통 제공하는 자와 받는자가 존재한다. 이런 교육도 필요하다. 다만 다꿈에서의 교육은 실제 체험과 참여에 기반한 활..

흔들림의 변화

오늘부터 2월까지 매주 목요일 30분~40분 가량 청년들과 만나 책으로 공부하기로 했다. 어떤 이는 근로장학생으로, 또 다른 이는 행정인턴의 자격으로 왔고, 다꿈에서 청소년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자원활동가로 모인 청년도 있었다. 각자 활동의 형태는 조금씩 달랐지만 다꿈에서 어린이 청소년들을 만나고, 이들을 돕는 일을 한다는 데는 공통점이 있었다. 잘 알고 배워야 제대로 일을 할 수 있기에 우리들은 공부하기로 했다. 스터디 모임을 주관하는 본인과 다꿈의 실무자 역시 이 과정 가운데 함께 공부하면서 성장하자고 했다. 오늘은 1장 "청소년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가능하면 사전에 자료를 읽고 오기로 했다. 짧게 1장 내용에 대해 본인이 설명을 했고, 몇 가지 주제와 이슈를 가지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청소년 전용 자치공간 다꿈의 토요일 일상

실외는 영하의 온도로 춥지만 익산청소년자치공간 다꿈은 청소년들의 열정으로 뜨끈뜨끈 합니다. 매주 토요일 다꿈의 청소년자치기구들은 정기 모임을 진행하는데, 오늘은 만화자치기구 '우화단', 일러스트 자치기구 '픽처스트', 바리스타 자치기구 '다꿈다방', 청소년기자단 '어프로치(Approach)' 등이 모여서 각자의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진심을 다해 참여하는 과정들을 몇 컷 사진에 담아보았습니다. 모임은 자치회의, 활동 등으로 구성되며, 이 모든 과정에서 청소년들은 참여의 주체가 됩니다. 청소년활동가들과 청년 자원활동가들은 파트너로서 참여하고 있습니다. 참여의 주체로서 청소년들은 스스로 자기가 하고 싶은 활동을 하며, 서로 수평적으로 소통하고, 합의하면서 공동의 것을 만들어 갑니다. 한편, 다꿈에는 자치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