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사람과 공간' 팀의 1차 워크숍 이후, 다양한 방식으로 청소년의 고립과 참여공간을 찾기 위한 설문조사, 그룹인터뷰, 공간 탐색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10월19일은 두번째 워크숍. 지난 한 달간 당사자 청소년들이 주로 다녔던 공간을 발표하고 그에 대한 소감을 나누었습니다. 강남1인가구 지원센터의 정재욱 대표님은 자문으로 함께했습니다.
예상했던대로 청소년들의 발표를 통해 알 수 있었던 건 갈만한 공간이 많지 않거나 제한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중요한건 물리적 공간 안에 깊은 소통과 관계를 하는 사람이 있을 때 비로소 청소년들은 더욱 편안함을 느꼈다는 것입니다. 물론 물리적 공간이 진짜로 없는 지역에는 공간 설립과 구성부터하는게 맞겠지만, 그와 함께 우리가 꼭 기억해야할 것은 그 안에 누가 있느냐입니다. 일반적인 가게나 상업시설을 갈지라도 거기에 청소년과 진정한 관계를 맺고자 하는 사람이 있을 때 우리 청소년들은 그 공간에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자신들의 주체적 결정과 참여가 가능한 공간에 청소년들은 더욱 애착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본인들이 선택하여 자유롭게 자신의 의사표현과 행동이 가능한 곳을 자주 찾았습니다. 이 중에는 비용을 지불하는 곳도 상당수 있었습니다. 카페, 셀프촬영장(BROOM), 헬스장 등. 이를 통해 청소년들에게 정기적인 비용 지불의 필요성도 생각해봤습니다.
사람과 주체적인 자기결정권.
사람과 공간팀의 두번째 워크숍을 통해 밝혀낸 청소년 참여공간의 핵심 요체인 듯 싶습니다.
#전주시사회혁신센터, #사회혁신전주, #지역사회문제해결프로젝트, #리빙랩사업, #사람과공간팀, #일일워크숍, #청소년자치연구소, #달그락달그락, #길위의청년학교, #장수YMCA
'달그락 청소년 활동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정적인 참여를 통해 만들어가는 청소년 경제 정책의제 (0) | 2021.11.11 |
---|---|
코로나19는 청소년의 경제 상황과 정신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제22회 달달포럼 이야기) (0) | 2021.11.01 |
가장 귀한 사람, 달그락지기님들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0) | 2021.10.14 |
청년공동체의 성장과 지역의 긍정적 변화를 위해 참여하는 청년들(10월 대표회의 후기) (0) | 2021.10.05 |
꿈.만.갑(꿈청지기 만나러 갑니다) (0) | 2021.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