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오성우 안식월 이야기 34

[10월21일] 한 자리에 모인 반가운 사람들

#10월21일, #오전엔독서와집안일, #점심은버니와옛동료들, #타임캡슐, #12년만에개봉, #캐츄리나, #오후엔인터뷰, #이진영감독님ㅋ, #늦은오후엔주원과축구예약, #피곤하시대서안감ㅋ 이틀 전 버니에게 안부문자를 받았다. 잘 지내냐면서 본인이 한턱 내겠다고 했다. 한턱 낸다는 표현은 파파고에서 도움받았다고.^^ 오늘 만나서 점심 사주겠다는 이유를 물어보니 감사해서 라고. 연락줘서 더 감사하다고 오늘은 내가 내겠다고 했다. 10년전 직장을 이동하면서 서로에게 남기고픈 메세지를 써서 타임캡슐에 넣었고 내가 계속 보관해왔다. 원래 개봉날짜는 2020.2월이었이나 그로부터 2년이 더 흘렀다. 짧은 메모지 안에는 별 내용은 없었지만 따뜻하고 정이 가득 넘치는 건 분명했다. 서로의 건강, 결혼, 더 나은 진로 등을..

[10월20일] 방구석 교육에서 집밖 만남까지

#10월20일, #하루종일_방구석, #교육참여, #조직_갈등관리_역량개발, #점심은102동맛집칼국수, #윤리와인권의이해, #그림을활용한소통과상담기법, #HTP검사_ #집은환경, #나무는자아, #사람은대인관계, #저녁식사는밖에서, #오랜만에만나는두사람, #어릴적이야기많이나올 듯 - 갈등은 해결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관리하면서 나가야만 한다. - 인권감수성은 인식과 태도를 넘어 행동하는 것까지를 말한다. 박제된 인권을 경계, 지양해야 할 것이다. - 무의식을 드러내는 그림이나 심상(이미지)를 통해 숨겨진 의미를 발견하는 게 중요하다. 특히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불일치가 있을 때 주목해야 한다. - 빗속의 사람그림: 비의 양은 스트레스의 양으로 볼 수 있음. 그리고 빗물, 웅덩이, 천둥 등도..

[10월19일] 내가 생각하는 진정한 삶다운 삶

#10월19일, #꿈청지기, #시장구경, #함께점심, #이른오후엔발대식, #공정무역SNS서포터즈, #늦은오후는축구, #주원이와함께, #풍문초등학교, #야간독서, #비로소내마음의적정온도를찾다 좋은 날, 좋은 사람들과 함께 대화하고 맛있는 식사를 하는 건 큰 행운입니다. 꼭 한번 시간 내어 꿈청지기쌤들께 감사 표현을 하고 싶었고, 오늘 자리가 마련되어 소박한 점심을 함께 했습니다. 군산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님의 추천으로 약 두 달간만 공정무역 SNS활동을 하게 되었습니다. 친인권, 친환경, 공정의 키워드가 좋아 동참했고, 이번 기회에 공정무역에 대해 조금 더 알아가는 시간이 될것 같아 감사함이 큽니다. 피아노학원에서 돌아온 주원이가 오랜만에 축구를 할 수 있는지 물어봅니다. 보통은 주일이나 휴일인 월요일에 함..

[10월18일] 평범한 하루가 가장 귀하다

#10월18일, #오전엔친구용수와의급만남, #차안에서소통, #점심도좋은친구와함께 #식사와건강이야기, #임도영원장님, #오후에는독서. #그리고동네한바퀴, #굿윌스토어, #마리서사, #희망도서바로대출서비스, #주원이책, #흔한남매 안식월과 관계없이 나는 매일 이전과 비슷하게 하루를 연다. 오전7시경 일어나 씻고, 아이들과 아내 학교에 데려다준다음 집에 돌아와 설거지 등을 한다. 늦잠을 잘법도한데 규칙적인 생활이 습관이 되어서인지, 계획적인 성향때문인지 그게 잘 안된다. 상관없다. 중요한 건 소중한 하루를 하나님께 받았다는 것이고, 감사한 일이다. 다음주에 고등학교 친구 두 명을 오산에서 만나기로 했다. 한 명은 어린이청소년중심의 교회를 개척한 목사님이고, 다른 한 명은 모금전문활동가다. 일정 조정차 톡을 하..

[10월17일] 집안일과 일상의 공통점

#10월17일, #오전엔집안일, #오전엔엔진오일교환, #점심은기본사회모임, #부자회집, #살맛나는민생실현연대, #오후엔군산공설시장, #평화기름집, #오후엔요가, #동네문화카페, #머리카락커트, #갑상선정기약타기, #소중한순간순간, #일상 오늘 하루를 돌아보면서 문득 일상이 집안일과 많이 닮았다는 생각을 했다. 둘은 아무리 열심히 해도 표(티)가 나지 않지만, 세상 그 어떤 것보다 귀한 내 삶의 일부였다. 매일 돌아보고 감사가 필요한 영역들이었다. 낯선 것이 가져다주는 즐거움과 신선함이 있다. 우리들은 종종 여행이나 새로운 목표 설정과 달성 노력을 통해 살아있음을 느낀다. 하지만 결국 그 과정의 끝과 반복 가운데 우리는 다시금 또 하나의 일상으로 마주하게 된다. 어떤 과정을 통해서든지 내가 행복하거나 존재..